여주교육자원봉사센터 교육봉사자 중 전문활동강사 6명은 2021년부터 여주시 평생학습 센터와의 협력으로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2021년 초등학교 돌봄에서 진행하던 프로그램을 2022년부터는 학교 밖으로까지 확장하여 여주 관내의 8개 지역아동센터와 1개의 농촌유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2023년에는 12개의 지역 아동센터(여주 관내의 모든 지역아동센터)와 1개의 다문화 돌봄시설, 1개의 대안교육시설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공교육 안으로 가는 교육봉사 활동은 아니지만 교육자원봉사센터가 지자체와 교육지원청과의 협력관계를 이루며 3년째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오히려 교육적 혜택의 사각지대인 지역아동센터 아동들과 학교 안 교육으로부터 소외된 다문화 아동 및 대안교육시설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어서 기관에서는 소화하기 어려운 프로젝트를 교육자원봉사센터의 특성을 살려 유연하게 진행하고 있는 것이 여주자원봉사센터의 특성화된 활동이 되고 있다.
비석치기
다문화 돌봄시설인 ‘국경없는 청소년 교실’은 일본인 돌봄선생님 3명이 의기투합해서 시골마을 마을회관 2층을 빌려서 꾸며놓은 작은 놀이방이다. 자신들의 다문화 자녀들 외에도 학교 돌봄교실을 못가는 한국인 고학년 초등학생들까지 갈 곳이 없다가 소문 듣고 와서 북적북적 모여있는 돌봄 시설이다보니 너무나 열악한 환경이다.
한국말이 어눌하기도 하고 정서가 달라서 소통능력이 아무래도 떨어지는 일본인 선생님들과 함께 아이들을 데리고 전래놀이 중에 비석치기를 하며 놀았다.
일본인 선생님들이 놀이에 흠뻑 빠져 즐겁게 뛰노는 아이들을 보며 열심히 사진을 찍어주시는데 생각이 많아졌다. 다문화 가정을 포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말은 오래 전부터 해온 이야기이지만 실질적인 대책이 없다보니 그들 스스로 시설을 만들고 다문화 가정 자녀 뿐만 아니라 갈 곳 없는 시골마을의 학생들까지 품고 돌봄을 해주는 일본인 선생님들의 모습에 죄송한 마음이 들면서 앞으로 교육봉사자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의 시야를 넓히고 기국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 운영지원단 정기회의
- 운영기간: 매월 1회
- 대상: 센터장 및 운영지원단
- 운영기간(또는 일자): 2023.7월중 5회기
- 대상:교육봉사자 10명
- 신청방법:교육자원봉사센터 회원중 9월에 있을 교육봉사 참여를 희망하는 신청자를 모집함
- 주요내용:중학교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교육봉사시 활용할 목적으로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있는 타로상담을 교육받기로 함
- 운영기간(또는 일자): 2023.9월중 2회기
- 대상:여주중학교 1학년 158명(참여 교육봉사자 6명~12명 예정)
- 주요내용:2022년과 2023년 교육자원봉사자들이 역량강화연수시 자격증을 취득한 보드게임, 전래놀이 및 타로상담을 여주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유학년제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함
- 운영기간(또는 일자): 2023.10월~12월중
- 대상:여주 시민
- 주요내용:여주시 평생학습센터 주민자치축제 및 여주교육지원청 축제시 교육자원봉사센터 홍보를 목적으로 한 교육체험 부스를 운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