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Z

QUIZ 정답 및 해설

01. 정답

다음에 해야할 진단/처치: E. 혈액 검사를 포함한 전신적인 평가 진행

02. Work-up 및 치료 경과
그림 1. (위부터)그림1A, 그림1B

초기 안과적 임상 양상을 바탕으로 한 진단은 불완전한 Vogt-Koyanagi-Harada (VKH)병이었지만, 고열과 동반된 여러 비특이적인 전신 증상 고려하여 전신 스테로이드 펄스 치료 전에 추가 전신 평가를 수행했다. 혈액 검사에서 CBC 는 Hb/WBC/platelet 11.5g/dL / 6,800/μL / 124 K/μL 로 경도의 빈혈 외 특이 소견 없었으나 AST 91 IU/L, ALT 31 IU/L로 간수치가 증가하여 있었고, CRP 9.97 mg /dL, ESR 88 mm/hr, LD 3601IU/L로 뚜렷한 증가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종 악성 종양 및 근병증, 뇌수막염 등 각종 전신 질환에서 LD 수치 상승이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여1 흉부 및 복부 CT를 시행하였고, 복부 CT에서 다발성 림프절 병증을 동반한 간 종괴를 발견하였다. 간 생검을 통해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DLBCL)를 진단할 수 있었고, 이후 종양내과로 전과되어 전신 침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PET CT에서는 양안의 후극부에 대사가 증가된 결절성 비후가 관찰되었으며 그 외 폐, 간, 비장, 골수, 뼈, 뇌막, 좌측 상악동, 복막 등 전신을 전반적으로 침범하는 대사가 증가된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에 B symptom이 동반된 다발 장기를 침범하는 DLBCL에 대해서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였고, 전신 항암 치료 후 환자의 시각적 증상은 빠르게 완화되었고 2주일만에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양안 모두 0.8로 회복되었으며 망막하액은 모두 흡수되었다. 6 cycle의 R-CHOP regimen 치료받았고 초진 후 3년 시점까지 시력과 안저 상태 모두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다(그림 1A, 1B).

03. 해설 및 고찰

본 증례는 특징적인 양안의 다발성 삼출성 망막박리와 두통, 청력저하의 전신 증상 및 스테로이드에 호전을 보이는 병력 등 VKH와 유사한 임상 양상을 보였으나 2 현저하게 동반된 전신증상에 대해서 전신 평가를 시행하여 DLBCL의 안구 내 침범으로 진단되어 항암 화학요법 후 호전되었던 증례이다.

안구내 림프종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전신 림프종 아형은 DLBCL이다.3 혈행성으로 전파되어 맥락막을 비롯한 망막 하 공간, 유리체강 등을 침범할 수 있으며 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포도막염 소견과 함께 망막 및 망막색소상피에 백색-노란색 침윤이 있는 크림 같은 병변이 비교적 흔하게 관찰된다.3,4 이차 안구 내 림프종에 의해 주로 맥락막이 침범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지만 드물지만 본 증례와 같이 장액성 망막 박리를 주 증상으로 전신 림프종의 안구 내 침범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5

Rivero 등6은 본 증례와 유사한 DLBCL의 비전형적인 안구 내 침범 증례를 보고하였다. 35세 남자 환자가 VKH 증후군과 유사한 삼출성 망막 박리로 인한 양측 시력 저하로 내원하여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작하였고, 스테로이드를 줄이면서 악화가 반복되는 임상 경과를 보이던 중 안과적 증상 발생 4개월만에 HIV 및 DLBCL를 진단받았고, 진단 며칠 후 사망하였다. Mathai 등7도 HIV 양성에 동반된 전신 Non-Hodgkin’s lymphoma(NHL) 환자에서 발생한 양안 삼출성 망막박리를 보고하였다. VKH 증후군을 모방 한 혈관 내 림프종 사례도 보고되었는데, 38세 남자환자가 유리체염증과 삼출성 망막박리의 안과 소견과 함께 뇌척수액 내 림프구 증가증을 바탕으로 VKH 증후군 진단으로 치료받고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 후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되던 중 6개월만에 혈관 내 림프종 진단을 받았다. 8

이와 같이 맥락막을 포함하는 안구 내 림프종은 VKH와 유사한 비전형적인 양상으로 관찰될 수 있다. 전신 림프종을 조기 진단하고 적시에 치료하는 것은 환자의 생존률과 직결된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현저한 전신 증상이 동반된 포도막염에서는 림프종과 같은 중요한 전신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포괄적인 전신 평가를 수행해야 한다.

Reference
  1. 1 Steensma DP, Witzig TE. Elevated serum LDH in patients with non-Hodgkin's lymphoma: not always an ominous sign. Br J Haematol 1999;107:463-464.
  2. 2 Read RW, Holland GN, Rao NA, et al. Revised diagnostic criteria for Vogt-Koyanagi-Harada disease: report of an international committee on nomenclature. Am J Ophthalmol 2001;131:647-652.
  3. 3 masquerade syndromes to immunotherapy-induced uveitis. Prog Retin Eye Res. 2019;72:100761.
  4. 4 Grimm SA, McCannel CA, Omuro AM, et al. Primary CNS lymphoma with intraocular involvement: International PCNSL Collaborative Group Report. Neurology. 2008;71:1355-1360.
  5. 5 Mashayekhi A, Shukla SY, Shields JA, et al. Choroidal lymphoma: clinical features and association with systemic lymphoma. Ophthalmology. 2014 Jan;121(1):342-351.
  6. 6 Rivero ME, Kuppermann BD, Wiley CA, et al.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related intraocular B-cell lymphoma. Arch Ophthalmol. 1999 May;117(5):616-22.
  7. 7 Mathai A, Lall A, Jain R, Pathengay A. Systemic non-Hodgkin's lymphoma masquerading as Vogt-Koyanagi-Harada disease in an HIV-positive patient. Clin Exp Ophthalmol 2006;34:280-282.
  8. 8 Angioi K, Bodaghi B, Kaminsky P, et al. Intravascular lymphoma mimicking a Vogt-Koyanagi-Harada disease. Ocul Immunol Inflamm 2011;19:132-134.